- "교원능력개발평가 안내"
교원능력개발평가 공통 모형(안) 개요
구분 | 주요내용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
목 적 | 교원 전문성 신장을 통한 공교육 신뢰 제고 | ||||
평가 대상 |
- 국·공·사립, 초·중·고 및 특수학교 재직 교원 (보건 ,영양, 사서, 상담 등 비교과교사 등 포함) - 교육(지원)청 소속 순회교사, 계약제교원(기간제 교사, 강사, 원어민 보조교사, 영어회화 전문강사 등 포함) - 평가 종료시점 기준 관찰기간 2개월 미만의 교원 제외 |
||||
평가종류/ 평가참여자 |
동료교원 평가 | 교장·교감 중 1인, 수석교사 또는 부장교사 1인 포함 3인 이상 |
|||
학생 만족도조사 | 지도를 받는(은) 학생 → 개별교원 대상 (교과전담교사, 비교과교사 등은 학급 무선표집 가능 : 최소 3학급 이상) |
||||
학부모 만족도조사 | 지도를 받는(은) 학생의 학부모 → 개별교원 대상 (교장·교감·담임교사 필수, 그 외 선택적 참여) |
||||
평가시기 | 매년 1회 이상 실시 (학생·학부모만족도, 동료교원평가 11월 17일까지 완료) | ||||
평가시행 주체(주관) |
- 교육과학기술부장관 및 교육감이 평가시행 주체 - 교장·교감, 교육(지원)청 소속 순회교사 등에 대한 평가시행은 교육감(장)이 실시 |
||||
소속 교사에 대한 평가시행은 단위학교장이 실시 | |||||
평가 영역 · 요소 · 지표 |
교원 | 교원의 교육활동 전반(학습지도, 생활지도, 학교경영) | |||
교사 | 학습 지도 |
수업준비, 수업실행, 평가 및 활용 등 평가 요소 | 교수·학습전략수립 등 12개 지표 | ||
생활 지도 |
개인생활지도, 사회생활지도 ※비교과교사의 경우, '학생지원' |
가정연계지도 등 6개 지표 (특수· 비교과교사는 별도) |
|||
교장· 교감 |
학교 경영 |
학교교육계획, 교내장학, 교원인사, 시설 관리 및 예산운용 ※교감은 시설관리 및 예산운용 지표 제외 |
학교경영목표관리 등 8개 지표 | ||
평가문항 | 동료교원평가는 지표별, 학생만족도조사는 요소별, 학부모만족도조사의 개별교원 대상 종합만족도는 영역별(세부만족도는 요소별) 문항 구성 |
||||
평가방법 | - 동료교원평가 시 자기진단자료 제시(적극 권장) - 학부모에 대한 교육 활동 등 다양한 정보 제공 - 5단 척도 절대평가 방식과 자유서술식 평가 방식 병행, 온라인평가 원칙 |
||||
결과 통보 | 교육감(장)·학교장은 개별교원에게 평가종류별 결과표, 개인별 합산표 통보 ※ 학교평가결과 및 문항지는 익년 2월에 정보공시 |
||||
결과 활용 | 평가결과에 따른 맞춤형 연수(학습연구년제, 자율연수, 능력향상연수) 등 | ||||
평가관리 기구 |
화암초등학교 교원능력개발평가관리위원회 설치 (학부모위원 6명, 교원위원 5명 총 11명으로 구성 ) |
교원능력개발평가 개요도
평가 내용(유형)